티스토리 뷰
최근 거의 대부분의 에뮬은 libretro에 소스를 가져와 편입시켜 사용되는 게 일반적이다. 또 레트로아크는 고유의 특별한 기능인 Ai 번역, RetroArchivements 업적 시스템, 온라인 멀티 게임, 돌핀 지원 등을 내장하고 있고, 에뮬레이션스테이션에 붙여진 Scrap 기능까지 포함하면 에뮬을 위한 종합 단일 시스템이 된다.
게임 컨트롤러
1~5세대의 콘솔을 비롯해 다양한 기종이 있는 만큼 게임 컨트롤러도 1 버튼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현재는 2 개의 아날로그 스틱, 1개의 십자키, 4개의 입력 버튼, 4개의 사이드 버튼, 2개 이상의 시스템 버튼을 기준으로 하는 게임 컨트롤러(PS3 무선 듀얼쇼크 혹은 xbox360)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레트로아크 초기에는 이 컨트롤러들을 하나씩 잡아주는 작업부터 제법 까다로운 과정이 필요했는데 지금은 모든 설정이 설치 초기 때부터 잡혀 있어서 별다른 수고 없이 컨트롤러를 설정할 수 있다.
웹 인터페이스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에뮬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접근하는 기능을 말한다. 대게는 해당 에뮬 시스템이 로컬 네트워크에 물려있을 때 http://에뮬시스템 IP 또는 http://에뮬시스템호스트네임 (예: http://recalbox.local 또는 http://192.168.0.x) 같은 방법으로 찾아 들어갈 수 있다. 에뮬 시스템에 따라 지원하는 웹 인터페이스는 다를 수 있다.
Ai 번역
게임상의 다른 언어로 된 텍스트를 번역해 주는 기능을 말한다. 작동 방식은 번역이 필요한 장면이 있을 때 번역 버튼을 누르면, 스크린샷을 내부적으로 만들어 Ai 번역 사이트에 전송하고 번역된 내용을 받아서 화면에 표시해 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해상도가 낮은 스크린샷의 기계적 번역이기 때문에 번역의 품질은 기대할만한 게 못되고 최소한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수준까지는 구현된다고 보면 된다.
RetroArchivements 업적 시스템
스팀(Steam)에서 게임을 하다 보면 도전 과제라는 업적 시스템이 있다. 게임을 하다가 어떠한 조건을 달성하면 훈장처럼 “도전 과제 달성”이라는 팝업이 뜨는 시스템을 말하는데. 이것을 레트로아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https://retroachievements.org/ 사이트에 가입을 하고 레트로아크 설정창에서 가입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해 두기만 하면 게임을 진행할 때 도전 과제 달성 표시를 볼 수 있다. 그리고 https://retroachievements.org/ 에서 해당 게임에 대한 사용자들과 소통도 가능하다.
넷플레이
2인용 이상의 게임을 온라인으로 같이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대전 게임이나 슈팅 게임을 할 때 유용하다. 게임을 열어 놓은 쪽이 호스트가 되고 게임을 참가하는 쪽이 게스트이다. 롬 버전이 서로 같아야 같이 플레이가 가능한데 같은지 틀린지의 여부는 에뮬 시스템에서 체크해 준다. 휴일에 대전 게임을 열어 놓으면 도전하는 사용자가 들어온다. 오락실에서 하는 대전 게임 같은 느낌의 재미있는 기능이다.
원활한 게임을 위해 호스트 쪽에서 신경 써야 할 게 있다.
- 호스트는 가급적 유선랜으로 연결되어 있는 편이 좋다. 무선으로 작동시키면 게스트의 인터넷 상태에 따라 화면에 렉이 걸리기도 한다.
- 에뮬 시스템이 공유기 아래에 물려 있다면 UPnP 기능을 켜두거나 수동으로 에뮬 시스템 IP에 대한 포트(TCP port 55435)를 포워딩 시켜놓아야 한다.
- 공유기가 상위에 2개 이상 물려 있다면 작동하지 않는다.
- 롬은 가급적 No-Intro 같은 가공하지 않은 것을 써야 한다.
- 라즈베리파이 기준으로 Pi3-b+ 이상이면 문제없이 게임을 할 수 있다.
아케이드 게임은 거의 모든 게임이 가능하고 4-5세대(PS1 / DC / N64 등)와 휴대용 게임기(GB / GBC / GBA / PSP / DS) 같은 것은 잘 작동하지 않는다. 또 특별한 기능으로 관전 모드도 있다.
Forward/Rewind
테이프를 사용해 본 세대는 아는 용어, 말 그대로 게임을 빨리 감기/되감기 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아케이드 슈팅 게임을 하는데 0.1초 찰나의 탄을 피하지 못했는가? 되감기로 시간을 되돌려(?) 보자 피하지 못한 탄을 피할 수 있다. 인트로가 너무 길어 답답한가? 빨리 감기로 인트로를 넘기고 시간도 아껴보자.
RetroArchivements 하드코어 모드를 켜게 되면 이 기능은 자동으로 꺼진다.
Save/Load State
게임을 원하는 위치에서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는 기능이다. 고전게임 콘솔들이 가지고 있는 저장 공간의 한계 때문에 생기는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도 있고 게임 플레이 시간을 아껴볼 수도 있다.
Cheats
치트는 에뮬 시스템에 저장되어있어서 사용할 때 켜기만 하면 된다.
Lightgun 지원(돌핀 사용)
위모트를 이용해서 건 슈팅 게임을 해볼 수 있다. 위모트와 위모트 리시버(돌핀)를 준비하고 에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키를 따라 몇 가지를 설정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Scrap
각각의 게임 커버 포스터, 게임팩 등에 들어가는 이미지를 롬파일과 매칭시키는 것을 말한다. 잘 정돈된 목록은 게임을 보다 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게 하고, 잠깐의 플레이 영상만 보여줘도 게임에 대한 향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게임 스크랩 단계에 들어서면 또 다른 노동을 하게 된다.
'정보와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드로이드 XU4 고전게임 에뮬 새턴 돌려보기 (0) | 2023.09.21 |
---|---|
FBneo를 위한 1G1R (1) | 2023.09.10 |
mednafen 환경 변수 등록하기-윈도우 (0) | 2023.08.24 |
고전 에뮬에 관한 1 (0) | 2023.08.19 |
RG351v 한방팩 정보 (0) | 2023.07.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라즈베리파이5
- retroachievements
- 에이스컴뱃3
- retroarch
- RetroPie
- 레트로아크
- 새턴
- 플스1
- Recalbox
- 에뮬
- 에뮬레이터
- mednafen
- 파이널택틱스1
- 레트로파이
- 바토세라
- XU4
- Acecombat3
- Error
- 파이널판타지
- 코디
- browser sandboxing
- 설정
- 치트
- 치트코드
- Kodi
- 오드로이드
- PS1
- 리콜박스
- fbneo
- steamwebhelp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